| JOIN

여성건강상식

제목73. 폐경 후 언제쯤부터 피임을 하지 않아도 되는가?2018-03-31 07:11
작성자 Level 10

  

폐경에 가까워진 여성이라도 임신을 원치 않는다면 마지막 월경이 있고 나서 최소한
1년 후까지는-50세 이상인 경우-피임을 계속하여야 한다. 또한 50세 이하의
여성이라면 폐경 후 2년 정도는 피임을 계속하는 것이 좋다. 그 이후에도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혈중 FSH (난포자극호르몬) 치 검사를 받아보면 피임을
중단해도 되는지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40세 된 여성의 생식능력은 20세 여성의 절반밖에 되지 않으며 45세가 지나면 휠씬
더 떨어진다. 그러나 폐경 후에도 규칙적인 출혈이 계속 있다면 95퍼센트 정도는
배란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주기가 불규칙하고 출혈이 건너뛰곤 한다면 대개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봐도 좋다.
 많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건강하고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이라면
45세까지는 정기적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아가며 경구용 피임약을 복용해도 안전한
듯하다.
 그러나 담배를 피우는 여성의 경우는 35세까지 피임약을 복용하면 심장발작이나
뇌졸증을 일으킬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그런 여성은 복합제제 피임약보다는
프로제스테론만을 포함한 미니 필로 바꾸거나, 피임약을 복용하는 대신 다른 피임법을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피임약이 유방암의 위험을 높인다는 주장에 아직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피임약을 복용하면 폐경기 증후군 증세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40대 후반까지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 (물론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 은 자신이 폐경이 되었는지
아닌지 여부를 미처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여성은 피임약을 끊고 2-3개월
후 난포자극호르몬 검사를 받아보면 폐경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주의: 호르몬 보충요법이 피임의 효과까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할 것.
 40대 이후의 임신은 대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영국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40세가 넘어 임신한 여성의
45퍼센트가 낙태를 했다고 한다. 다시 말해 임신이 되었다 하면 반수 가량은 중절을
한다는 것이다.

 출산시 사망률은 40-49세 임산부가 20-29세 임산부에 비해 4배나 높으며 출산
직전이나 직후에 신생아가 사망할 확률은 두배로 높다. 산모의 나이가 35세가 넘으면
태아가 염색체 이상에서 오는 기형일 확률도 높아진다. 또한 인공유산시에 부작용의
우려도 크다. 따라서 피임에 주의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98,661 total views,  37 views today

이용약관 Previous post 이용약관 건강정보 Next post 건강정보